가스배관

LPG와 LNG(도시가스) 한 장소에서 동시 사용이 가능할까? (겸용)

Citygas! 2023. 6. 5. 18:28

한 장소에서 LPG와 LNG(도시가스) 사용 가능 

 
 

[ 질의내용, NO.84288, 2022.12.02  ]


동일 업소(주방)에서 도시가스(LNG)와 LPG가스를 동시 사용이 가능한지?

 
[ KGS 답변내용 ]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및 「도시가스사업법」상 동일 공간에 LPG 및 도시가스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별도로 규정·제한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동일 공간에 LPG 및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연소기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하는 가스에 따른 법령(LP의 경우 액법 시행규칙 별표20, 도시가스의 경우 도법 시행규칙 별표7)의 시설·기술기준을 모두 준수하여야 함을 안내드립니다.
 


 

LNG는 Liquified Natural Gas, 즉 액화 천연가스이고 

LPG는 Liquified Petroleum Gas 액화석유가스입니다.

즉, 도시가스는 땅에서 나오는 지하자원 중 하나고, LPG는 석유에서 뽑아내는 가스다. 
그리고 도시가스는 주성분이 탄소 하나로 이루어진 메탄이고, 
LPG는 탄소가 세 개인 프로판이 주성분이다.

 
 
LNG 생산은 땅속 관을 통해 뽑아낸 뒤 깨끗하게 정제만 하면 바로 쓸 수 있습니다.
천연가스는 석탄, 석유와 함께 삼대 화석연료라 불리는 중요한 연료로 그 주성분은 메탄(CH4)입니다. 유전에서 일부 원유에 섞여 나오는 유전가스와 가스전으로부터 얻는 가스전가스가 천연가스의 주 생산원입니다. 끓는점이 상당히 낮아(-160℃ 이하) 매우 낮은 온도에서 액화시켜 냉동선으로 해상 수송합니다. 메탄의 끓는점이 LPG의 주성분인 부탄과 프로판에 비해 이렇게 낮다는 것은 휘발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때문에 액화를 위해 매우 낮은 온도와 높은 압력을 필요로 합니다.
천연가스를 액화시키기 전에 또는 액화시키는 과정 중에 여러 가지 불순물이 쉽게 제거되기 때문에 흔히 액화천연가스는 양질의 연료로 간주됩니다. 최근에 액체 메탄을 로켓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가를 러시아, 미국 등에서 많이 연구하고 있는데요.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이는 화성과 토성 등 표면에서 메탄 기체 포집이 가능하리라는 믿음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석유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LNG나 천연가스는 모두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LPG는 원유에서 얻습니다. 
휘발유나 경유와 함께, 석유를 분별증류*해서 얻을 수 있습니다. LPG는 프로페인(프로판)과 뷰테인(부탄) 가스의 혼합물입니다.
유전에서는 보통 탄소수가 5-36개 이상인 탄화수소의 혼합물인 석유와 함께 탄소수가 세 개인 프로판( C3H8)과 네 개인 부탄( C4H10)이 주성분인 기체혼합성분과 함께 나옵니다. 프로판과 부탄은 실온에서 무색의 기체이지만 산지에 따라 이 두 기체의 성분 함량에는 차이가 납니다. 프로판은 끓는점이 대기압 하에서 -42℃입니다. 부탄은 두 가지 이성질체가 있으며 곧은 사슬인 n-부탄은 0℃ 근처에서 끓고, 가지친 구조를 지니는 이소부탄은 -10℃ 근처에서 끓습니다. 따라서 프로판이 휘발성이 더 강해 다루기 힘든 기체임을 알 수 있고, 부탄은 상대적으로 다루기 쉽습니다.
LPG 성분의 일부는 나프타 등의 열분해(크래킹) 공정에서 얻어집니다. 과거에는 염소와 불소를 포함하고 있는 탄소화합물인 염화플루오린화탄소(chloro-fluoro-carbon )와 수소와 불소의 탄소화합물인 하이드로 플루오로카본(HFC, hydrofluorocarbon )이 분무제, 에어콘과 냉장고용 냉동제로 널리 쓰였습니다. 그러나 이들이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임이 밝혀진 뒤부터는 이들을 대체하는 LPG 기체들의 사용이 늘고 있습니다.

LPG와 LNG의 성질 차이
도시가스의 메탄은 영하 82도 이하로 온도를 내려야만 액체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LPG의 프로판은 영상 97도에서도 압력을 가하면 액체가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결정적인 차이입니다.
도시가스, 즉 LNG를 산유국에서 우리나라까지 원래 기체 상태로 운반하려면 부피가 너무 커서 불가능하다.그래서 꼭 부피를 줄여야 하는데 대기압 하에서 영하 161도까지 냉각시키면 부피가 600분의 1로 줄어듭니다..그리고 특별히 설계한 LNG선에서 냉각 액화 시켜야 운송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육지에서는 이런 냉각 설비를 각 가정마다 설치할 수 없으니까 지하에 가스관을 통해 각 가정에 보내게 됩니다. 이것을 도시가스라고 합니다. 
그럼, LPG 가스도 도시가스처럼 파이프를 통해서 공급할 수는 없을까요? 물론 파이프로 연결해도 됩니다. 하지만 비용이 너무 많이 듭니다. 도시가스가 사람이 밀집해서 사는 동네에만 있고 사람이 적은 농촌에는 없는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그냥 가스통에 액체 상태로 배달하는 게 더 쌉니다.
 

 

LPG에서 도시가스 연료전환시 배관사용 및 검사기준

연료전환시 배관사용 및 검사기준 ◇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제48조 제48조(가스사용시설 변경에 따른 안전조치) 법 제28조의2에서 “액화석유가스의 용기 및 부대설비의 철거 등 산업통상자

kara1529.tistory.com

건물 외부 및 실외 가스연소기 설치기준

건물 외부 또는 실외에 가스연소기 설치시 노출배관 기준 준수 [질의내용, No.74468, 2021.04.05] 집합건물 분양면적내 실외에 숯불착화기 설치가능 여부 [KGS 답변내용] 가스배관을 실외에 설치하기

kara1529.tistory.com

특정가스사용시설에서 연소기만 교체시 검사기준

특정가스사용시설에서 배관변경없이 단순 연소기 교체시 검사 [ 질의내용, No.89004. 2023.9.05 ]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연소기 교체 시, 도시가스사의 공급전안전점검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지? (

kara1529.tistory.com

특정가스사용시설 완성검사 및 정기검사 수수료 비용

특정가스사용시설 정기검사 기준 ㅇ 검사주기 : 매년 1회 ※ 매립배관 또는 경로당 및 가정어린이집이 특정가스사용시설일 경우 : 정기검사 주기 10년 ㅇ 검사기간 : 최초 완성검사기준일 전후 30

kara1529.tistory.com

가스누출자동차단장치 설치기준

KGS Code : FU551 - 2.8.2.2. 가스누출자동차단장치 ◆ 설치 대상 (2.8.2.2.1) (1) 특정가스사용시설 (2) 「식품위생법」에 의한 식품접객업소 영업장의 면적이 100 ㎡ (30평) 이상인 가스사용시설 (3) 지하에

kara1529.tistory.com

외국산 가스연소기 사용절차

외국산 가스연소기 사용절차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시행규칙 제4조제4항에 따른 허가대상 가스용품을 외국에서 수입할 경우 같은 법 제10조에 따라 외국가스용품 제조등록을

kara1529.tistory.com

열량변경 작업 가능자와 열량변경 표지판 부착

연소기 열량변경 시설 검사처리 방법 ◇ 관련 규정 - 한국가스안전공사 도시가스시설 검사업무 처리지침 (개정 2022.12.29) (연소기 열량변경 작업자 자격 개정 및 열량변경스티커 부착 의무화) -

kara1529.tistory.com

완성검사 및 공급전안전점검시 시공자 자격

현장점검시 검사 신청인의 자격 확인 KGS Code FU551 4.2.2.1.15 (6)과 4.2.2.1.16 (3)에 의거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완성검사시 기밀 및 내압시험에 필요한 준비 및 조치는 검사 신청인이 하도록 규정하고 있

kara1529.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