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정가스사용시설

특정가스사용시설에서 연소기만 교체시 검사기준

by Citygas! 2023. 9. 20.

특정가스사용시설에서 배관변경없이 단순 연소기 교체시 검사


[ 질의내용, No.89004. 2023.9.05 ]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연소기 교체 시, 도시가스사의 공급전안전점검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지?
(플렉시블배관 교체 안함)
 

 

[ KGS 답변내용 ]

도시가스사업법 제26조(안전관리규정)에서 도시가스사업자는 가스공급시설과 가스사용시설의 안전유지에 관한 안전관리규정을 정하여 지키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일반도시가스사업자 표준안전관리규정 제23조 및 제36조에서 "회사는 가스공급시설(또는 가스사용시설)의 설치(변경)공사가 시공감리(또는 완성검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사용자공급관(또는 가스사용시설)에 한하여 공급전안전점검을 실시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질의하신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연소기 교체 공사가 완성검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일반도시가스사업자의 공급전안전점검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 특정가스사용시설 검사기준 ]

완성검사 검사대상
(한국가스안전공사 검사, 검사수수료 有)
공급전안전점검 점검대상
(도시가스사 점검, 검사수수료 無)
신 규(1) 월사용예정량 2천㎥ 이상 (1종 보호시설은 1천㎥)
(2) 시도지사 고시에 의한 지정 시설
(3) 배관 매립시설
좌측 변경항목 이외 대상과 아래 대상

(1) 배관변경없이 사용량만 변경시
 
(2) 배관변경과 500㎥미만 증설시

(3) 20만kcal/h초과 보일러 가스버너 교체시

변 경ㅇ 배관 변경과 함께 500㎥이상 증설하거나
    500㎥이상인 시설을 이설
※ 철거와 신설이 동시 이루어질 경우, 신설량만 계산
ㅇ호칭50mm이상 배관을 20M이상 증설 및 교체, 이설
ㅇ정압기, 압력조정기 증설, 교체, 이설


도시가스 무단시공과 과태료 처벌기준

시공회사 : 행정조치 (과태료 부과 등) ◆도시가스사업법 제15조(시공감리등) ⑥ 도시가스충전사업자 및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사용자는 가스충전시설 및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설치공사나 변경공

kara1529.tistory.com

특정가스사용시설 정의와 검사기준

특정가스사용시설 이란? 산업통산자원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산정된 월사용 예정량 2,000㎥ (제1종 보호시설인 경우는 1,000 ㎥) 이상인 가스사용시설 시도지사가 안전관리를 위하여 필요하

kara1529.tistory.com

특정가스사용시설 완성검사 및 정기검사 수수료 비용

특정가스사용시설 정기검사 기준 ◇ 검사주기 : 매년 1회 ※ 매립배관 또는 경로당 및 가정어린이집이 특정가스사용시설일 경우 : 정기검사 주기 10년 ◇ 검사기간 : 최초 완성검사기준일 전후 30

kara1529.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