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스배관40

가스배관 전기방식 시공기준 (등전위본딩) 가스배관 등전위본딩 설치기준 인입배관(PLP) 설치시에는 절연 플랜지 및 절연 볼밸브 설치 가스사용시설 내관 변경 공사시 메인밸브 후단에서 분기하여 설치 가스배관 전기 접지선 설치시 도시가스사업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안전상 가스배관에 접지 불가 단, 접지시에는 해당 설비의 소유자 허가를 받아야 하며, KGS FU551에 따라 절연전선을 배관이음부에서 10cm 이격하여 설치해야 함.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 제20조(피뢰설비) 7. 급수ㆍ급탕ㆍ난방ㆍ가스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설치하는 금속배관 및 금속재 설비는 전위(電位)가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전기적으로 접속할 것 「 한국전기안전공사 KESC (전기설비에 대한 세부 검사·점검기준) 」 KESC 320.7.1 (보호등전위본딩.. 2024. 4. 15.
가스배관과 바닥 이격거리 실내 및 실외 가스배관과 바닥 이격거리 ◆ 실내 가스배관과 바닥 이격거리 KGS Code FU551 2.5.4.5 배관 실내 설치 2.5.4.5.10 바닥에 설치하는 배관은 바닥과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 실외 노출 가스배관과 바닥 이격거리 KGS Code FU551 2.5.4.3.3 노출배관의 방호 (1) 건축물 외부에 설치하는 배관은 배관의 부식 방지와 검사 및 보수를 위하여 바닥으로부터 0.3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며, 배관의 손상방지를 위하여 주위의 상황에 따라 방책이나 보호대 등의 방호조치를 한다. 다만, 배관을 연소기 설치를 위한 구조물 위에 설치하는 경우, 2.5.4.5.10 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건축법 상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 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이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2024. 4. 5.
가스배관 보호포 설치기준 도시가스 배관 보호포(경고시트) 설치기준 [질의내용, NO.92144, 2024.03.22] KGS Code FU551 2.5.7.1에는 "배관은 그 외부에 사용가스명·최고사용압력 및 가스의 흐름방향을 표시한다. 다만,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흐름방향을 표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부지내의 배관을 매설할 때, 첨부의 사진과 같이 PE배관에 명기된 내용으로 위의 규정을 충족할 수 있는지? [KGS 답변내용] 첨부된 사진으로는 명확한 사용가스명(도시가스)이 기입되지 않았고, 최고사용압력은 기술검토상 적혀있는 압력이 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PE배관 직상부 40cm 위치에 보호포를 설치해야 규정에 부합할 것 같습니다. KGS Code FU551 .. 2024. 3. 25.
가스배관 이음쇠 구분 가스배관 이음쇠 란? [질의내용, No.91825. 2024.2.28] KGS FU551 4.3.1.2 규정 중 가스배관 이음쇠 관련 문의 [KGS 답변내용] 도시가스사업법령 및 상세기준 상 배관이음쇠와 관련하여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아니합니다.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이음쇠'란 서로 잇기 위하여 대는 쇠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배관과 배관을 이을 수 있는 용도인 엘보, 티는 배관이음쇠로 볼 수 있을 것이나, 단순 배관 막음조치를 위한 플러그, 캡은 배관이음쇠에 속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됨을 안내드립니다. KGS FU551 4.3.1.1 특정 가스사용시설의 설치공사 4.3.1.2 다음 기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변경공사 (3) 특정 가스사용시설의 배관을 변경하는 공사로서 월 사용 예정량을 500㎥ 이상 .. 2024. 2. 29.
전위측정용 터미널(TB) 설치기준 전위측정용 터미널(TB) 설치기준 [ 질의내용, No.89604, 2023.10.19 ] 법정 이격거리를 준수한 고압배관과 도시가스 배관 (2m 이상 이격 / 철근콘크리트 방호구조물+1m 이상 이격)의 근접 교차 부분에도 T/B를 설치해야 하는지 [ KGS 답변내용 ] 가스시설 전기방식 기준 (KGS Code GC202) 2.2.2.1.3 (7)에 따라 다른 금속 구조물과 근접 교차 부분에는 전위측정용 터미널(T/B)을 설치 해야합니다. 상기 규정에는 ‘근접’의 판단(거리) 기준에 대하여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콘크리트 방호구조물이 근접 교차하는 다른 금속 구조물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으로 보기는 다소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므로, 고압배관과 도시가스배관의 ①이격거리가 2m 이상이거나 ②철근 콘크.. 2023. 12. 13.
외벽 보온재 내 도시가스 은폐배관 벽체 은폐배관 설치기준 [ 질의내용, No.90277, 2023.11.27 ]보온재 내 설치된 스레인리스배관의 은폐배관 또는 매립배관 판단여부 ※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 KGS 답변내용 ]KGS FU551에서는 은폐배관과 매립배관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1.3.26 “매립(埋立) 배관”이란 건축물의 천장, 벽, 바닥 속에 설치되는 배관으로서, 배관 주위에 콘크리트, 흙 등이 채워져 배관의 점검·교체가 불가능한 배관을 말함. 다만, 천장, 벽체 등을 관통하기 위해 이음부 없이 설치되는 배관은 매립배관으로 보지 않는다. 1.3.27 “은폐(隱蔽) 배관” 이란 건축물 내 천장, 벽체, 바닥 등의 공간에 외부에서 배관이 보이지 않게 설치된 배관으로서, 배관의 점검·교체 등이 .. 2023. 11. 30.
공동주택 내부 입상배관의 사용자공급자 구분 공동주택 內 입상배관의 사용자공급자 구분 [ 질의내용, No.63761, 2019.04.08 ]가스계량기가 공동주택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고, 입상배관이 공동주택 내부 베란다 상하 층간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에 공동주택 내부 입상배관의 사용자공급관과 내관 구분 [ KGS 답변내용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제2조제1항제4호에 ‘사용자공급관’이란 공급관 중 가스사용자가 소유하거나 점유하고 있는 토지의 경계에서 가스사용자가 구분하여 소유하거나 점유하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계량기의 전단밸브(계량기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그 건축물의 외벽)까지 이르는 배관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같은법 시행규칙 별표6 제3호가목2)라)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저압의 공급관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 2023. 11. 21.